닫기

DJ때 쓰던 원훈 복구한 국정원… 대대적 ‘물갈이’ 임박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8010010459

글자크기

닫기

최인규 기자 | 최민준 기자

승인 : 2025. 07. 17. 17:31

김대중 정부때 국정원 역할 복원 의도
대북 관계 개선 따른 정보 수집 집중
현재 감찰실장 직원 인사기록 검토
"이번에도 동시에 인사·조직개편 전망"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 /연합
국가정보원(국정원)이 17일 김대중 정부가 사용했던 '정보는 국력이다'로 원훈을 교체했다. 그동안 정권 교체 때마다 원훈을 바꾸며 대대적인 인적쇄신을 했던 전례를 고려하면, 물갈이 인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원장 직속의 감찰실장이 전 직원들에 대한 감찰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싹쓸이 인사가 머지 않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국정원은 이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친필 휘호로 원훈석을 바꿨다. 이는 김대중 정부 때 국정원의 역할을 복원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당시 국정원은 전신인 국가안전기획부와 다르게 대북 관계 개선을 위한 정보 수집 활동에 집중했다. 대북 유화책 의지를 밝힌 이재명 대통령이 노무현 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역임한 이종석 원장을 임명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원장은 김대중 정부 햇볕 정책의 대표적인 설계자이기도 하다.

이 원장은 원훈석 교체에 대해 "나라 안팎의 난관을 헤쳐 나갈 국정원에 꼭 필요한 말"이라며 "국정원의 책무와 역할이 이 원훈에 다 담겨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의 설명은 '12·3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혼란스러운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비상계엄 사태엔 조태용 전 국정원장 등 다수의 직원이 연루돼 있다. 이 때문에 국정원이 조만간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현재 감찰실장은 내부 인사 기록을 살피고 있기도 하다. 감찰 결과에 따라 징계까지 가능하다. 대규모 숙청의 기류가 감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국정원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감찰실장은 수개월 전부터 있었다”며 “이번 정부와는 무관하다”고 얘기했다.

아울러 국정원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약 7개월 동안 중단했던 경찰청 대공수사 파견도 재개하기로 했다. 4명 이상의 대공수사관을 보낼 예정이다. 향후 국정원은 경찰청과 협의해 대공수사 공조 체제를 다시 구축하기로 했다. 국정원 인력은 경찰에서 담당하지 못하고 있는 해외 정보 수집 분야를 맡을 계획이다. 이는 윤석열 정부와 달리 이재명 정부의 국정원이 대공수사권 경찰 이관과 관련해 적극 협조할 뜻이 있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앞서 윤석열 정부 역시 원훈을 변경하면서 요직에 있던 전 정부 인사 대부분을 직무에서 배제했다. 이때 국정원은 2022년 6월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는 원훈석으로 바꾸기 전날 1급 보직국장 전원을 대기발령했다.

국정원 싱크탱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소장을 지낸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원훈석을 교체하는 동시에 인사와 조직개편이 이뤄진다"며 "이번에도 분명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훈석 교체가 직원들을 향한 일종의 메시지이기도 한데 자주 바뀌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예산 낭비"라며 "국정원 조직 본래 기능에 충실하면 계속 바꿀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최인규 기자
최민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