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초강력 부동산 규제에…서울 아파트값·거래량 상승세 “둔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6010003076

글자크기

닫기

김다빈 기자

승인 : 2025. 07. 06. 09:43

이미지
서울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서울 등 수도권 집값 안정을 목표로 부동산 대출 '옥죄기'가 시장에 적지 않은 변화를 주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6억원) 초과 금지, '갭투자'(전세를 낀 매입) 전면 금지 등을 도입하며 주택 수요자들의 '자금줄'이 끊기자, 서울 아파트 거래 및 집값 상승폭 둔화가 감지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 정책을 전격적으로 발표하고, 이를 다음 날인 28일부터 시행했다.

그 결과 최근 신고가 경신 사례가 속출하며, 지난 2021년 부동산 활황기 시절 가격을 훌쩍 뛰어넘은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빠르게 관망세로 돌아섰다. 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상승률은 0.40%를 기록했다. 전주(0.43%↑) 대비 소폭 줄어든 수치이지만, 가격 오름폭 확대가 심화하던 흐름이 끊긴 셈이다.

특히 △강남(0.84%→0.73%) △서초(0.77%→0.65%) △송파(0.88%→0.75%) △강동(0.74%→0.62%) 등 강남권은 물론 △용산(0.74%→0.58%) △성동(0.99%→0.89%) △마포(0.98%→0.85%) 등 인기지역 상승폭도 일제히 축소됐다.

거래량도 급감하는 조짐을 보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책 전 일주일(6월 20~26일)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는 총 1629건이었다. 이는 대책 시행후 일주일(6월 27일~7월 3일) 사이 577건으로, 3분의 1 가량 줄어들었다.

매수 심리 위축에 따른 관망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매매 가격 및 거래 주춤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대책이 아직 시세에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가격 변동에 앞서 이뤄지는 거래량 감소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시일 내 정책적 효과가 나타나며 아파트값 상승폭이 급격히 둔화될 것 같다"고 말했다.
김다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