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달성하려면 내수 진작 필요
AI 지원과 민영 경제 촉진도 가속화
|
중국 재계 일부에서 재작년과 지난해와 같은 성장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대단히 무리라는 의견이 대두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5일 막을 올린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국회) 3차 회의에서 리창(李强) 총리가 발표한 정부공작보고에는 5% 안팎의 성장률 목표가 담겨 있다. 세계은행(WB)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이 하나 같이 4% 중반의 전망치를 제시하는 것과 비교하면 꽤 차이가 난다.
중국 경제 당국도 상황이 어렵다는 사실을 솔직히 인정하고는 있다. 이는 리 총리가 공작보고를 통해 "작년 외부 환경 변화가 가져온 악영향이 심화됐다. 국내에서는 장기간 누적된 일부 구조적 모순이 집중적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내수 부진 등까지 겹쳤다"면서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고 토로한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하지만 공작보고에 담긴 목표 달성 의지는 대단하다고 해야 한다. 향후 속속 취해질 각종 대책들을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우선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 적자율 목표를 역대 최고 수준인 GDP(국내총생산) 대비 4%로 확대하는 조치를 꼽아야 할 것 같다. 이 경우 올해 중국의 재정 적자 규모는 5조6600억 위안(元·1137조 원)으로 한 해 만에 무려 1조6000억 위안이나 늘어나게 된다.
직접적인 내수 진작 대책 역시 주목을 요한다. 이주환신(以舊換新·낡은 제품을 신품으로 교체할 때의 지원) 정책에 필요한 보조금 규모를 3000억 위안으로 책정한 것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베이징 시민 천민후이(陳敏輝) 씨가 "일부 가전 제품을 최근 신품으로 교체했다. 정부 보조금을 받는다고 생각하니 부담이 없었다. 주위에 나 같은 사람이 많다"면서 이 정책이 경기 부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피력하는 것은 다 까닭이 있지 않나 싶다.
이외에 인공지능(AI) 산업 지원 의지에서 읽을 수 있는 과학기술과 산업 혁신을 통한 신품질 생산력 가속화, 국유기업 개혁 및 민영 경제 촉진 등의 국가적 전략까지 더할 경우 상황이 반드시 최악으로 흘러가라는 법은 없다. 여기에 지난해와 같은 추가 경기 부양책을 올해 하반기에 줄줄이 내놓는다면 극적으로 5%에 근접하는 성장률을 달성할 가능성은 있다고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