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가 인센티브 발굴 위한 관계부처 협력 강화
|
최 권한대행은 1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 김성섭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등 관계부처 장·차관들과 정책수요자인 워킹맘·대디, 일·생활균형 우수기업 및 가족친화인증기업 대표 등과 함께 오찬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최 대행은 "저출생 극복을 위해서는 일과 가정이 조화롭게 양립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라며 "정부는 이를 위해 저출생 대응 예산 대폭 확대, 결혼세액공제 신설 및 자녀세액공제 확대 등 재정·세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달 23일부터 시행되는 '육아지원 3법'을 통해 육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등 추가적인 육아지원이 시행될 예정으로 육아 친화적 문화가 좀 더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일·가정 양립을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의 역할과 인식 전환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올해 달라지는 일·육아 병행 지원제도가 저출생 극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제도 수혜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했고 "직장어린이집은 일·가정 양립에 중요한 부분으로 중소기업 근로자 자녀를 위한 돌봄시설을 확충해달라"라고 요청했다. 또 육아휴직 등에 따른 대체인력 지원 확대, 일·생활균형 우수기업·가족친화인증기업에 대한 추가적인 혜택 마련 등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관계부처 장·차관들은 "올해부터 바뀌는 일·육아 지원제도를 적극 홍보해 이를 몰라서 활용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중소기업·영세사업장 근로자를 위해 설치비 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 공동직장어린이집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지자체, 신한금융지주 등과 협업해 대체인력 지원을 확대하고 일·가정 양립 선도기업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 발굴을 위해 관계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답변했다.
최 대행은 "2023년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2024년에는 9년 만에 첫 반등을 보이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났으나, 아직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개선할 부분이 많다"면서 "오늘 나온 의견을 정책 수립 과정에 반영해,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근로자들이 실질적인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