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불공정·부당·비이성적 조치, 러 석유 수입 시장 요인"
모디, 중국 방문 시진핑·푸틴과 회담할듯
|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직·간접적으로 수입하는 데 대응해 인도산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트럼프, 러 석유 수입 인도에 25% 추가, 총 50% 관세...모디와 우크라 휴전 주저 푸틴 압박
젤렌스키 "푸틴, 휴전 쪽으로 기울고 있어...압력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종전에 동의하지 않으면 8일부터 러시아뿐 아니라 원유·액화천연가스(LNG) 구매 등 러시아와 교역하는 국가에 대해서도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2차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한 경고를 먼저 인도에 시행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에서 "나는 인도 정부가 현재 러시아 연방의 석유(원유와 각종 석유 제품 포괄)를 직간접적으로 수입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며 "따라서 관련 법률에 따라 미국 영토로 수입되는 인도의 물품에는 25%의 추가 관세율이 적용된다"고 발표다. 이 추가 관세는 향후 21일 후 발효된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밝혔다.
지난해 미국과 인도의 교역액은 약 1300억달러이고, 의약품·자동차 부품·전기 제품·보석 등이 주력 수출 상품인 인도가 미국에 대해 45억8000달러(6조2300억원)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
이는 무역협상과 관련해 인도를 압박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 종전에 응하지 않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쟁 자금줄을 압박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인도는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원유 수입국이며 러시아에서 전체 원유의 38%를 수입하고 있다.
이는 이번 조치가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난 직후 나왔다는 점에서 설득력을 더한다.
실제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주 푸틴과 대면 회담을 한 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함께 하는 3자 회담을 할 계획이라고 보도했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이 휴전 쪽으로 좀 더 기울고 있는데, 이는 '압력'이 통한 것이라고 밝혔다.
|
NYT "트럼프, 대중 균형추 인도, 좌파 룰라 브라질과 같이 '정치적 적' 낙인, 미·인도 관계 위기"
그러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대신 인도를 표적으로 한 것은 2014년 5월 집권 이후 자와할랄 네루 정부 초대 정부 이후 유지돼 온 전통적인 러시아와의 특별전략적 동맹자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친(親)서방 노선을 강화하고 있는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외교 노선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특히 모디 정부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정권을 견제하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중심 역할을 해 왔고, 미국·일본·호주와 함께 하는 안보협의체 쿼드(Quad)의 일원이기도 하다.
NYT는 '한때 미국의 대중국 균형추였던 인도가 이제 트럼프의 분노에 직면하고 있다'는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 50%의 관세 위협을 통해 인도를 대중 균형추로 하려는 계획을 폐기하고, 대신 인도를 '죽은 경제'라고 선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2기에 인도를 중국의 도전에 대항하는 우호적인 균형추로 삼을 것으로 예상됐는데, 50%의 관세를 부과해 비슷한 관세율(50%)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응할 것이라고 한 좌파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이 있는 브라질과 같은 처지인 '정치적인 적'으로 낙인찍히게 됐다며 "인도와 미국 사이의 위기가 갑자기 무역 조건으로 훨씬 더 커 보인다"가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 때도 모디 총리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두번째 취임 22일 만인 지난 2월 13일 백악관에서 가진 정상회담에선 모디 총리가 인도가 미국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선진화된 경제 대국이 될 것이라고 했을 때 트럼프 대통령은 미소로 화답한 바 있다.
모디 총리는 "미국과 인도가 협력할 때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에 '인도를 다시 위대하게(MIGA)'를 더하면 '번영을 위한 메가(mega) 파트너십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인도의 경제적 부상에 미국의 협력을 끌어들이려는 모디 총리의 자신감은 충분히 근거가 있는 것으로 미국 행정부는 인도가 중국에 대한 억지력으로 핵무기 보유를 발표한 후 25년 이상 인도를 지정학적 동맹국으로 구애해 왔다고 NYT는 지적했다.
|
|
모디, 중국 방문 시진핑·푸틴과 정상회담 가능성...일본도 방문
인도는 트럼프 대통령의 25%의 추가 관세 발표에 반발했다.
인도 외교부는 이날 "매우 유감스러운 조치"라면서 "불공정하고 부당하며 이성적이지 않다"고 반박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외교부는 "우리는 시장 요인에 기반을 두고 (석유를) 수입한다"면서 "14억 인도 국민의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른 국가들도 자국 이익을 위해 하는 행동에 추가 관세를 부과한 것은 극히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재차 지적했다.
이에 모디 총리는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력을 강화하면서 트럼프 행정부를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
모디 총리는 오는 31일부터 9월 1일까지 톈진(天津)에서 예정된 상하이(上海)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7년 만에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인도 TNN통신이 이날 전했다. 이 회의에는 푸틴도 참석한다고 TNN은 알렸다. 모디 총리는 중국 방문을 전후해 정례 정상회담을 갖기 위해 일본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