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산재사망·인권유린 ‘악몽의 현장’…대통령 나서자 그제야 움직였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8010015627

글자크기

닫기

세종 김남형 기자

승인 : 2025. 07. 27. 18:04

SPC, 李 방문 이틀뒤 야근제한 대책 발표
고용부, 이주노동자 보호 제도 개선 착수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허영인 SPC그룹 회장에게 근로자 노동 환경 등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연합
이재명 대통령이 SPC 산재사망 현장을 찾아 노동강도를 질타하고,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권유린 사건에 엄단 방침을 밝히면서 산업안전과 노동인권 문제에 대해 정부와 기업이 신속히 대응에 나서고 있다.

SPC그룹은 27일 "생산직 야근을 원칙적으로 8시간 이내로 제한하고, 주간 근무시간도 점진적으로 단축하며 야간 생산은 가능한한 줄이겠다"고 밝혔다. 해당 방안은 오는 10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같은 조치는 이 대통령이 지난 25일 산업재해가 발생했던 경기 시흥 SPC삼립 시화공장을 방문해 "월급이 300만원이라고 목숨값이 300만원일 수는 없다"며 강하게 질타한 지 이틀 만에 나온 것이다.

지난 5월 새벽 3시께 해당 공장에서 노동자가 소스 혼합기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고, 2022년에도 유사한 사고가 반복됐다.

이 대통령은 "노동강도가 너무 세서 밤 같을 때는 졸릴 것 같다"며 장시간 야간노동 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정부의 산업안전 감시도 강화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24일 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앞서 지난 14일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집진기 배관 해체 작업 중이던 노동자 3명이 20m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이 중 1명이 숨졌다.

이 대통령은 17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아직도 이런 사고가 발생하나라는 생각이 든다"며 "원인을 신속·철저히 조사하고, 안전조치 미비 여부를 확인해 엄정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현장에서의 안전 문제와 더불어 노동자의 기본권 보장 문제에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24일 전남 나주의 한 벽돌공장에서 스리랑카 국적 이주노동자가 비닐에 결박된 채 지게차에 매달려 이동하는 영상이 공개돼 사회적 공분을 일으켰다.

이 대통령은 이를 두고 "소수자·약자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폭력이며 명백한 인권유린"이라며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고용부는 이주노동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에 착수했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