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 소수 국가·기업에 집중 강조
중국은 미국과 달리 개방적 주장
|
이어 "각 국가와 기업, 집단들은 AI를 평등하게 발전시키고 이용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 후 "최근 우리 중국은 AI 플러스(+) 전략을 추진하면서 독창적 성과가 앞다퉈 나오고 있다. 기술 수준과 시장 규모가 끊임없이 향상되고 있다. 우리는 발전 경험과 기술을 세계 각국, 특히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의 능력 배양을 돕는 데 쓸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을 상대로 AI 및 고성능 반도체 등 첨단 기술 통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미국을 겨냥한 발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더불어 '독점의 미국'과 '포용의 중국'을 대비시키려는 의도적인 입장 피력이라고도 풀이할 수 있다.
리 총리는 이외에 "현재 AI 기술이 지속, 쾌속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그러나 컴퓨팅 칩 공급 부족에 점점 더 많이 직면하고 있다. 고품질 언어 자료가 점차 고갈되고 있다. 기업과 인재 교류, 협력이 제한받는 등 제약이 있다"면서 "각국은 첨단 이론과 기초과학 및 기술 연구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AI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주입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혁신 자원과 활력이 충분하다. 적극적으로 오픈소스 발전을 추동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각국과 함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기술의 난관을 돌파하고 오픈소스 개방 강도를 높여 AI 발전이 더 높은 수준에 이르도록 함께 추진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이날부터 28일까지 'AI 시대의 글로벌 연대'를 주제로 연례 WAIC를 개최한다. 화웨이(華爲)와 바이두(百度) 등 중국 주요 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구글과 아마존,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함께 약 7만㎡의 공간에 3000여 종의 전시물을 선보인다.
주최 측은 이번 대회에 대형언어모델(LLM) 40여종과 AI 단말 제품 50여개, 휴머노이드 로봇 60여종이 전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글로벌 최초'나 '중국 최초' 수식어가 붙은 제품도 100여 종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