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AI분야 추경 1793억원 의결…“신속 AX에 총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4010002912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7. 04. 23:27

500억원 규모 AI혁신펀드 추가 조성
공공·의료분야 AI 접목 통한 대전환 추진
AI반도체 팹리스 육성 위한 제품 고도화 지원
202507020100019280001034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사 전경./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외친 정부가 1793억원을 추가 투입하며 AI 예산을 2조8000억원 규모로 확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국회 본회의에서 총 1793억원 규모의 AI 분야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제2회 추경은 경기진작을 위해 AI 전환과 국민 체감도 제고에 초점을 맞춰 AI의 활용 확산을 통한 우리나라 산업을 고도화하고, 공공서비스를 혁신하는 한편, 국가 정보보호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글로벌 AI 경쟁이 공공·산업·민생 전반의 전환(AX)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과기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실질적 실행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자 이번 추경을 편성했다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첫째, 공공·의료·제조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I 대전환'을 본격 추진한다.

총 656억원의 예산을 투입, 공공부문에 AI 접목을 위한 '공공AX 프로젝트'(150억원), AI기반 의료 예후관리서비스 개발(40억원), 제조업의 기술고도화를 위한 AX실증 플랫폼 구축(40억원), 피지컬AI 핵심기술 POC(Poof of Concept)(426억원)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움직이는 인공지능인 피지컬AI에 대한 글로벌 기술확보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피지컬AI 원천기술을 조속히 확보하기 위한 현실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AI 모델 설계 등의 기반조성도 지원한다.

둘째, AI의 산업화 및 사업화 확대를 위한 투자도 강화한다.

올해 본예산과 지난 1차 추경을 통해 확보한 AI혁신펀드(1000억원) 외에 500억원 규모의 AI혁신펀드를 추가로 조성,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한다. 동시에 AI 분야 초기 창업기업을 비롯한 유망기업의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국산 AI반도체 분야 역시 조기상용화 지원을 위한 1차 추경(494억원)에 이어 2차 추경에도 지속적인 의견수렴 과정에서 추가로 발굴한 수요를 사업화해 반영했다. 이번에는 최신 AI모델과의 호환성 확대 및 설계에 필수적인 고비용 설계 IP 활용 등 제품 고도화를 지원(300억원), 기업들의 수요처 확보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계획이다.

셋째, 국민의 삶과 직결된 정보보호를 강화하고 청년·취약계층의 AI역량 제고를 위한 지원을 대폭 확충한다.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 구축과 함께 고위험 산업군 대상 정보보호관리체계 특화 인증항목을 개발해 국가 중요시설 등의 보호?점검 수준을 한층 강화한다(67억원). 또 신속한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대응을 위한 생성형 AI 기반의 침해 대응체계를 구축하고(50억원) 대규모 인터넷 장애 방지를 위해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RPKI)를 구축한다(30억원).

RPKI는 최적의 인터넷 경로를 찾는 과정에서 공개키(PKI) 기반의 라우팅 인증서를 발급해 악의적인 경로의 전파를 검증·차단하는 국제표준이다.

또 국민 누구나 AI를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 단위의 'AI디지털배움터(가칭)'를 구축하고(66억원), 청년 대상 맞춤형 AI·소프트웨어 교육을 확대(34억원)해 디지털 포용사회 실현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유상임 과기부 장관은 "이번 2회 추경은 공공, 산업, 민생 전반에서 인공지능이 실질적인 혁신을 이끌도록 하기 위해 연내에 집행가능하며,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하는 사업 중심으로 편성했다"며 "정부는 1차 추경에서 확보한 핵심 인프라를 바탕으로, 2회 추경을 통해 AI대전환을 더욱 속도감 있게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