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오후 6시 50분쯤 양 후보측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실무진 단일화 협상에 나섰지만,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김 후보 측은 이 자리에서 당 중진들이 제시한 중재안을 바탕으로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절반만 반영하는 형태의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제안했으나, 한 후보 측은 K-보팅 시스템을 활용한 전 당원 투표를 역제안하며 접점을 찾지 못했다.
한덕수 후보 측 윤기찬 정책대변인은 "김 후보 측에 전당원 투표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김 후보 측이 제안한 '50% 역선택 방지 여론조사'와 관련해 "본투표에서 민주당을 찍거나 역선택을 의도하는 분이 있다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자를 추천하는 과정에서 그런 의사가 반영되는 건 있을 수 없다"며 "100% 방지나, 50% 방지냐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다.
다만 김재원 김문수 대선 후보 비서실장은 "나경원·박대출 의원 등으로부터 '50%는 역선택 방지 조항이 없는 여론조사, 50%는 역선택 방지 여론조사를 실시하면 공평하지 않나. 타협할 생각이 없는가'라는 간곡한 요청이 있어서 (입장을) 정리해서 이 자리에 왔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그러나 한 후보 측에서는 '역선택 방지 문항이 들어간 것은 1%도 받지 못하겠다'면서 'K-보팅 시스템으로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해서 결판을 내자'고 제안했다"며 "이미 한 후보로 국민의힘 후보를 교체하는 데 대한 (당원 대상) 찬반 ARS 투표가 진행 중이다. 사전에 한덕수라는 이름으로 당원에게 홍보하고 내일 또 투표하면 그게 공정한가"라고 반문했다.
양측은 전날 2차례 실무 협상을 했으나 단일화 여론조사의 역선택 방지 조항 등에서 이견을 보이며 모두 결렬됐다. 이에 전날 국민의힘은 대선후보를 김 후보에서 한 후보로 교체하는 절차에 돌입했다. 이날 오후 9시 마감하는 전 당원 투표를 거쳐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한 후보로의 교체가 완료된다.
김 후보는 이에 반발해 당을 상대로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한 상태다. 이날 오후 5시 심문 절차를 마치고 이르면 늦은 밤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