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삼성전자, 인도서 8000억대 관세·과징금 부과 결정 받자 항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04010001341

글자크기

닫기

최지현 기자

승인 : 2025. 05. 04. 19:55

소형 라디오 주파수 회로 모듈 수입 과정서 문제 생겨
"동일품목 인도 대기업이 수입할 때는 무관세"
2025013101002349300143091
삼성전자 서초사옥 전경./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인도에서 관세 회피 혐의로 8000억원 이상의 세금 추징과 과징금 부과 결정을 받자 항소를 제기했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인도 서부 뭄바이의 관세·서비스세 항소 심판원에 항소장을 제출하면서 "인도 대기업이 수입할 때는 무관세였던 품목이 부과 대상이 됐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월 인도 세무 당국은 "삼성전자가 주요 통신기기를 수입하면서 10% 또는 20%의 관세를 내지 않았다"면서 총 446억 루피(약 7400억원)의 미납 관세 추징·과징금 부과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와 별도로 삼성전자 인도법인 임원 7명에게도 총 8100만달러(약 114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문제가 된 제품은 소형 라디오 주파수 회로 모듈인 '리모트 라디오 헤드'다. 4세대 이동통신(5G) 기지국에서 신호를 송출하는 핵심 기기로 평가받는다.

삼성전자는 2018∼2021년 한국과 베트남에서 이 기기를 7억8400만 달러(약 1조1000억원)에 수입하면서 관세를 내지 않았다. 삼성전자는 수입된 기기를 인도 통신 대기업 릴라이언스 지오에 공급했다.

삼성전자는 이 기기가 송수신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무관세 품목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인도 관세 당국은 관세 부과 대상인 송수신기라고 주장하면서 관세를 추징했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는 2017년까지 약 3년 동안 같은 품목을 릴라이언스 지오가 무관세로 수입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 품목을 무관세로 하는 '오랜 관행'이 있었으며 인도 세무당국도 릴라이언스 지오의 이런 사업 관행을 완전히 인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최지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