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중 디커플링 새 국면…세계경제 ‘충격파’ 시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11010006924

글자크기

닫기

최효극 기자

승인 : 2025. 04. 11. 14:43

미·중 항로 컨테이너 예약 25%↓
양국 교역 일부 사실상 스톱 징후
美, 주문 취소…물가 인상에 직면
中, 최대시장 수출 막혀 해고사태
US-TRADE-TARIFFS-DIPLOMACY
미국 캘리포니아 샌페드로에 위치한 로스앤젤레스 항구의 MSC 마리아그라치아 컨테이너선에서 10일(현지시간) 크레인이 화물을 하역하고 있다. / AFP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이 격화하면서 디커플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세계 경제에 충격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총 145%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면서 이미 미·중 간 연간 5820억 달러(약 843조원) 규모의 교역 중 일부가 사실상 멈췄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내 공장들은 주문을 취소하고 있으며, 중국 제조업체들은 직원들을 일시 해고하고 있다. 미·중 간 해상 운송 예약도 급감했다는 통계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로 인한 미국의 고통은 장기적으로 일자리와 투자 증가로 보상받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투자은행 JP모건은 "미국 경제가 올해 후반기 경기 침체에 진입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이날 밝혔다.

미국 내 많은 기업들은 스마트폰, 장난감, 산업 부품 등 다양한 품목을 중국 생산 기반을 전제로, 디자인·마케팅·유통을 담당하는 구조로 운영돼 왔다. 2024년 기준 미국 전체 수입품 중 약 13%가 중국산이었다.

25년 넘게 미국 소비자들은 중국산 제품을 값싸게 공급받았고, 중국은 그 수익을 인프라 확충과 산업 고도화에 활용해 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하고 무역 적자가 불어났다. 2024년 기준 미국은 중국에 1435억 달러어치의 상품을 수출했지만, 수입은 4389억 달러에 달해 대규모 무역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이번 추가 관세가 지속될 경우 미국은 더 이상 중국 생산에 의존할 수 없으며, 그럴 경우 미국 소비자들은 더 비싼 가격에 상품을 구매해야 한다. 중국도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인 미국에 대한 수출길이 사실상 막히게 되면서, 부동산 침체와 내수 부진에 시달리는 중국 경제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양국 간 갈등이 격화됨에 따라 세계 금융시장은 요동치고 있다. 주식, 채권, 환율 시장 모두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경제 전문가들은 실질적인 충격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화물 데이터 플랫폼 소나 컨테이너 아틀라스에 따르면 미·중 항로의 일일 컨테이너 예약 건수는 3월 말 이후 전년 동기 대비 약 25% 감소했다. 일부 미국 수입업체들은 중국산 제품의 반입을 일시 중단했으며, 다른 업체들은 세관 창고에 보관하며 관세 상황이 명확해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또 아마존은 관세 발표 이후 일부 중국산 상품의 공급업체 재고를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경제연구소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미국 수출이 향후 몇 년 내 반토막이 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고, 프랑스 소시에테 제네랄은 "이번 관세 인상으로 인해 중국의 대미 수출이 사실상 전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세는 수입품 가격을 올려 미국 기업과 소비자의 구매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또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은 기업의 미래 계획 수립을 어렵게 만들어 투자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2022년 고점을 찍은 이후 점차 억제되고 있던 미국 내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

경제학자들은 이번 무역 전쟁이 중국의 경제 모델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은 공장, 인프라, 부동산 등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수출 중심 전략으로 세계 2위 경제 대국에 올라섰지만 이런 성장 모델은 한계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이제는 소비 중심 경제로 전환하지 않으면 성장 정체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를 위해 취약한 사회안전망 보강과 재정난에 빠진 지방정부의 구제를 포함하는 광범위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효극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