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농업 정책에 뿔난 프랑스 농부들, 새해부터 트랙터 몰고 파리 거리 집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06010002795

글자크기

닫기

임유정 파리 통신원

승인 : 2025. 01. 06. 18:15

15만 농가 재정 지원 공약, 실제 3만에 불과
남미 5개국 농식품 무관세 쿼터 추진에 반발
PAP20241118306701009_P2_20241118234428364
지난해 11월 18일(현지시간) 프랑스 북부 보베에서 열린 EU-메르코수르 FTA 반대 집회에서 농부들이 트랙터를 운전하고 있다. 포스터에는 '나는 내 일을 사랑하고 그 일에서 살고 싶다'고 적혀 있다./AP 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임유정 파리 통신원 = 프랑스 농업계가 유럽연합(EU)과 남미공동시장(MERCOSUR·메르코수르) 간 자유무역협정(FTA) 무산 및 농가 지원 확대를 요구하며 시위에 나섰다.

현지 매체 BFMTV·웨스트프랑스는 5일(현지시간) 프랑스농업조합 구성원들이 트랙터를 동원해 프랑스 파리 거리에 모였다고 보도했다.

프랑스 농업계에서 두 번째로 큰 협동조합인 전원조합이 주도한 이번 시위는 긴 연휴가 끝나는 특수를 노리고 열렸다.

전원조합은 노조원들에게 지난해 크리스마스부터 올해 신정을 포함해 프랑스 초·중·고교의 2주 방학이 끝나는 일요일에 거리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당초 전원조합은 지방에서 휴가를 보낸 파리 시민들이 파리로 복귀하는 주요 도로를 점거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이에 파리의 발드마른(Val-de-Marne) 경시청은 교통 체증을 방지하기 위해 허가 받지 않은 불법 시위를 일시 금지했다.

경시청은 전원조합을 겨냥해 "일요일 저녁 6시부터 월요일 정오까지 파리 중심부와 헝기스 시장 주변에서 어떤 형태의 불법 집회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전원조합은 5일 저녁 트랙터를 몰고 거리에 나섰다. 농부들은 불법 집회가 금지되지 않은 지역에 모여 파리 도심의 농업부, 총리관저 등에 접근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시청은 트랙터가 모여 있는 주요 거점마다 병력을 배치해 경계 태세를 강화했다.

프랑스 농업계는 최근 국회의 조기 해산 등 국정 혼란으로 인해 농업계에 적용되기로 했던 조치들이 지연되고 있는 것에 불만을 표출해 왔다.

지연되고 있는 조치로 '소규모 농업인 보호' '수입 농산품에 대한 강력한 규제' 등이 있다. 아울러 노조는 농업부가 약속했던 것보다 적은 규모의 재정적 지원도 지적했다.

한 농업조합은 "농업부는 15만 농가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기로 약속지만 작년 40만 농가 중 3만 농가만이 각각 9000유로(약 1365만원) 규모의 지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농업조합이 시위에 나선 데엔 브라질 및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남미 5개국과의 FTA 협상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EU는 남미 5개국의 쌀·설탕·소고기·가금류 등 농식품에 대해 무관세 쿼터를 설정하는 등의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농업조합은 "EU는 자국 농부들에게만 강력한 환경 생태 기준을 적용한다"며 "협상이 이뤄지면 EU에서 생산되는 농식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반발했다.

이번 시위를 주도한 크리스티앙 콘베 프랑스농민연합(FNSEA) 부회장은 5일 오후 파리의 브라질광장에서 시위에 나섰다가 잠시 체포되기도 했다.

콘베 부회장은 "경찰은 내게 파리를 떠나라며 풀어줬지만, 프랑스 국민으로서 파리 도심을 걸을 권리도 없나"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그는 "현재 농업계는 정부의 처사에 불만이 있으며, 그 불만을 표현하기 위해 트랙터를 몰고 함께 모일 곳이 필요한 것일 뿐"이라고 시위의 이유를 설명했다.
임유정 파리 통신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