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가 돌아왔다…‘美 우선주의 2.0’ 개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106010003098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4. 11. 06. 17:48

47대 대통령 당선, 4년 만에 재탈환
선거인단·득표수까지 앞서 압승 평가
다시 美 우선주의… 세계 질서 대격변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의 밴 앤델 아레나에서 대선 유세를 하고 있다./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실시된 대선에서 승리해 제47대 대통령으로 4년 만에 백악관에 재입성하게 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6일 오전 1시30분(한국시간 7일 오후 3시30분) 기준, 대통령 선거인단 총 538명 가운데 최소 과반인 270명을 확보해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게 승리했다고 폭스뉴스·더힐 등이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거인단뿐 아니라 전체 득표수에서도 앞섰다. 트럼프 당선인은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패배한 2020년 대선뿐 아니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부 장관에게 승리했던 2016년 대선에서도 득표수에서는 뒤졌었다.

그런 의미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압승'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로써 트럼프 당선인은 22대와 24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그로버 클리블랜드에 이어 역대 2번째로 재선에 실패했다가 다시 재집권에 성공하는 대통령이 됐다.

미국 최초의 여성·아시아계 대통령,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 흑인 대통령에 도전했던 해리스 부통령은 좌절을 맛봤다.

아울러 이날 대선과 동시에 실시된 연방상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이 각각 5?석을 확보해 4년 만에 다수당이 됐다. 하원의원 선거 개표가 진행 중이지만 공화당이 다수당 지위를 유지할 경우 트럼프 당선인의 국정 운영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앤디 김 하원의원이 한국계로서는 최초로 상원의원(조지아주)에 당선됐고, 재선의 한국계 영 김·미셜 박 스틸 공화당 하원의원과 메릴린 스트리클런드 민주당 의원도 3선 고지를 달성해 한인들의 정치 역량이 크게 향상됐다. 다만 한국계 부인을 둬 '한국 사위'라고 불린 래리 호건 전 메릴랜드주 지사는 민주당 후보에 패배해 아쉬움을 남겼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는 미국 유권자들이 바이든-해리스 행정부의 지난 4년간 국정 운영에 대한 심판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선거 보도에서 가장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는 AP통신이 전미 유권자 11만5000여명을 상대로 조사한 설문조사 보트캐스트에 따르면 유권자들의 가장 큰 관심은 경제(39%)·이민(20%)으로 모두 트럼프 당선인에게 유리한 이슈였다.

해리스 부통령이 쟁점화한 낙태·의료 보건·기후변화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은 각각 11%·8%·7%에 머물렀다.

트럼프 당선인은 내년 1월20일 대통령에 취임하면 공약한 법인세 및 에너지 가격 인하, 석유·가스 개발 규제 철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전기차 보조금 제도) 폐지, 국경 장벽 건설 및 불법 이민 강제 송환 등을 속도감 있고, 강력하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여성들의 최대 관심 사안이었던 낙태권은 각주(州)에 위임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 우선주의'를 적용한 21세기 '신고립주의' 대외정책을 추진해 전세계의 지정학적 지형이 크게 변화할 것이 확실시된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합의 재협상 및 대폭 인상을 요구하면서 이를 주한미군 감축 또는 철수가 연계시킬 가능성이 크고, 어떤 형태로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비핵화 또는 비확산 협상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각 기업당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반도체 보조금을 폐지해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에 타격을 주고, 지난해 미국 외국인 직접투자(FDI) 1위인 한국의 기업에 대해 더 많은 투자를 압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60~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해 미·중 갈등이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 2% 이상 지출 압박 등으로 유럽 주요국과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또 러시아가 침략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그대로 인정한 상태에서 전쟁을 끝내려고 해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나토와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