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울모빌리티쇼] BYD코리아, 韓 공략할 ‘BYD 씰’ 공개…바다의 미학 녹였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3010002284

글자크기

닫기

고양 김아련 기자

승인 : 2025. 04. 03. 17:04

'씰' 최초로 셀투바디 기술 적용
국내 친환경차 시장에서 첫 발
아토3 보조금 확정에 인도 시작
BYD 씰 공개 (5)
(왼쪽부터) 김재운 BYD코리아 세일즈 부문 이사, 딩하이미아오 BYD코리아 대표, 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 인동동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브랜드PR 디렉터가 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BYD코리아
올해 한국 시장에 공식 진출한 중국 비야디(BYD)가 처음으로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해 BYD 승용 브랜드의 두 번째 모델인 BYD '씰(SEAL)'을 포함해 주요 브랜드의 대표 모델 총 8종을 출품했다. BYD 씰은 스포티한 디자인과 강력한 주행성능, 지능형 하이테크 DNA를 모두 갖춘 퍼포먼스 중형 전기세단으로 사전계약 예약도 시작한다. 서울모빌리티쇼에서 현대차 바로 옆에 전시 부스를 꾸린 BYD코리아는 한국 시장에서 첨단 기술을 앞세워 성장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한 지난 1월 출시한 '아토3'는 전기차 보조금이 확정됨에 따라 인도를 시작한다.

3일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는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진행된 발표에서 "지난 1월에 소개해드린 아토3가 BYD의 전기차 보급 확산을 위한 모델이었다면 두 번째 선보이는 모델은 BYD 브랜드의 기술 혁신과 그 방향성이 잘 반영된 차량"이라고 강조했다.

BYD코리아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BYD 테크 웨이브'를 모티브로 BYD 아토 3, 씰, 씨라이언 7, 양왕 U8, U9, 덴자 D9, Z9GT, 포뮬러 바오 BAO 5 등 BYD 주요 브랜드의 대표 모델을 출품했다. 기후 변화라는 거대한 변화의 파도를 기술혁신으로 헤쳐 나가는 BYD의 방향성을 연출했다.

조 대표는 "BYD의 디자인 컨셉인 바다의 미학을 차량 외관 전면에 그대로 녹여냈다"며 "특히 BYD 씰은 공기 역학적인 디자인 설계로 Cd 0.219의 공기저항계수를 통해 제로백 3.8초의 주행성능을 자랑한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씰의 판매가격은 4750만~5250만원 사이로 책정될 것"이라며 "차량 인도 시기와 최종 차량 가격은 인증이 완료되고 전기차 보조금 산정과 환경친화적 자동차 고시 등재가 완료된 후 확정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BYD코리아는 지난 1월 출시된 '아토3'에 대해, 전날 오후 환경부의 보조금이 확정됨에 따라 인도를 시작할 것이라 밝혔다. 조 대표는 "아토3 출고 지연에도 불구하고 기다려주신 고객분들 덕에 어제 오후 드디어 환경부의 보조금이 확정됐다"며 "앞으로도 책임 있는 자세로 관련 행정기관들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BYD 씰은 낮은 차체, 유선형의 스타일링, 패스트백 스타일을 통해 전체적으로 매끄럽고 탄탄한 쿠페형 디자인을 구현했다. 가장 큰 특징은 혁신적인 기술의 도입이다. BYD 전기차 라인업 중 최초로 셀투바디(CTB) 기술이 적용돼 e-플랫폼 3.0의 성능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CTB 기술의 핵심은 배터리팩의 상단 커버를 차체 바닥과 완전히 일체화하는 혁신적인 구조에 있다. 이 기술은 배터리를 단순한 에너지원에서 벗어나 구조적 요소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충돌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날 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는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서울, 광주, 수원, 대전, 대구 부산, 제주도까지 BYD가 간 모든 장소에서 한국 소비자분들의 전기차에 대한 사랑과 BYD 기술력에 대한 인정을 느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조인철 대표는 "서울 모빌리티쇼 참가를 통해 비로소 국내 자동차 산업의 진정한 일원으로서, 국내 친환경차 시장에서 함께 성장할 동반자로 첫 발을 내딛고자 한다"며 "고객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제품과 서비스 품질을 높여 설렘과 기대감을 주는 혁신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lip20250403152450
BYD 씰(SEAL)./BYD코리아
김아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