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뒤틀린 극단의 정치…협치는 매장 당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4010006779

글자크기

닫기

이충재 기자

승인 : 2025. 08. 13. 17:39

[광복 80주년-반으로 나뉜 정치권]
지난해 12·3비상계엄 이후 극한 대립
"총성 멈추고 소통·대화 복원 나서야"
광복절을 앞두고 정부서울청사 외벽에 대형 태극기가 걸려 있다. /연합
지난 3월 7일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대통령 만세' 유인물을 뿌리며 분신을 시도한 남성이 사망했다. 정파갈등이 극에 달한 올해 초에만 정치적 분신으로 두 명이나 목숨을 끊었다. 이후 치러진 대선에서 야당 후보는 '암살 우려'에 방탄복을 입고,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를 펴야 했다.

대선 후보자들의 얼굴이 담긴 벽보나 현수막을 훼손하는 사건은 지난 대선에 비해 2배 넘게 늘었고, 달걀과 욕설이 날아드는 건 특별한 뉴스거리도 되지 않았다. 극단의 정치로 뒤틀린 대한민국의 자화상이다.

우리 정치에 '공감'과 '협치'라는 말이 자취를 감췄다.

반으로 쪼개진 사회를 붙잡고 손을 맞잡아야 할 정치권이 오히려 선동의 깃발을 들어 올리며 선봉에 선 결과다. 지난해 12·3비상계엄 사태 이후 여야는 극한의 대립으로 총부리를 겨누고 있다. 정치권에 울리는 총성은 이재명 정부에서 멈출 수 있을까.

일단 시작은 나쁘지 않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6월 4일 취임식에서 "소통과 대화를 복원하고, 양보하고 타협하는 정치를 되살리겠다"고 약속했고, 취임 18일만에 야당 지도부와 마주 앉아 식사를 했다. 이 대통령과 야당 지도부는 1시간 45분간 국정을 논하며 국익이 걸린 외교·안보에서 협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다. 7월 들어 여당이 새 당대표를 뽑기 위한 전당대회를 치르며 '전면 무장체제'에 돌입했다.
이충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