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3비상계엄 이후 극한 대립
"총성 멈추고 소통·대화 복원 나서야"
![]() |
광복절을 앞두고 정부서울청사 외벽에 대형 태극기가 걸려 있다. /연합 |
대선 후보자들의 얼굴이 담긴 벽보나 현수막을 훼손하는 사건은 지난 대선에 비해 2배 넘게 늘었고, 달걀과 욕설이 날아드는 건 특별한 뉴스거리도 되지 않았다. 극단의 정치로 뒤틀린 대한민국의 자화상이다.
우리 정치에 '공감'과 '협치'라는 말이 자취를 감췄다.
반으로 쪼개진 사회를 붙잡고 손을 맞잡아야 할 정치권이 오히려 선동의 깃발을 들어 올리며 선봉에 선 결과다. 지난해 12·3비상계엄 사태 이후 여야는 극한의 대립으로 총부리를 겨누고 있다. 정치권에 울리는 총성은 이재명 정부에서 멈출 수 있을까.
일단 시작은 나쁘지 않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6월 4일 취임식에서 "소통과 대화를 복원하고, 양보하고 타협하는 정치를 되살리겠다"고 약속했고, 취임 18일만에 야당 지도부와 마주 앉아 식사를 했다. 이 대통령과 야당 지도부는 1시간 45분간 국정을 논하며 국익이 걸린 외교·안보에서 협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다. 7월 들어 여당이 새 당대표를 뽑기 위한 전당대회를 치르며 '전면 무장체제'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