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청년 등 대상 취업 지원 강화 대책 마련"
|
지난달 취업자 수가 17만명 넘게 늘며 두 달 연속 10만명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다만 일부 내수 업종과 제조·건설업의 고용 부진은 계속됐고, 청년층 고용여건도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모습이다. 정부는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역량을 높이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청년과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취업 지원 강화 대책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7월 취업자 수는 2902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만1000명 증가했다. 올해 3월(19만3000명), 4월(19만4000명), 5월(24만5000명) 등 20만명 안팎을 기록하던 취업자 수 증가 폭은 6월(18만3000명)에 이어 지난달까지 다소 둔화하는 흐름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7만8000명 줄며 13개월째 감소했다. 건설업 역시 건설경기 부진 영향으로 9만2000명 줄어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두 업종 모두 전월 대비 감소 폭은 축소됐다.
장주성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은 "하반기에 (건설·제조업 취업자 수가) 플러스 전환하거나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고는 보고 있지 않다"며 "다만 제조업은 최근 소비 개선세가 내수 제조업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자료= 통계청 / 그래픽 = 박종규 기자 |
장 과장은 "최근 소비심리 개선세가 지속 확산될 수 있도록 부처별 소비진작 프로그램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건설 등 분야별 투자 지원방안도 지속 발굴하겠다"며 "또한 청년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 구직활동 지원과 취업 유인을 제고하고, 중고령층의 경력·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재취업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