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지금 종로는]“ ‘동묘앞역’ 이름 바꾸는 게 마땅”...어려움도 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3010014128

글자크기

닫기

한평수 기자 | 박아람 기자

승인 : 2025. 05. 11. 09:48

"관우 사당인 동묘앞 역이름은 사대주의 잔재"
"서울의 정체성 맞지않고 종로 고유지명도 아냐"
주민들 정통성 있는 '숭인역'으로 바꾸고 싶어해
비용 10억원대…종로구, 막중한 부담 해결해야
종로구 지하철 동묘앞역 스케치
서울 종로구 지하철 동묘앞역 사거리에 지하철 동묘앞역 출입구가 표시돼 있다. /정재훈 기자
서울 종로구와 숭인동 일대 주민들이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 역이름 바꾸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구와 주민들은 삼국지에 나오는 중국 장수 관우의 위패를 모신 사당 '동관왕묘(동묘)'의 이름을 본뜬 동묘앞역이 서울의 역사적 정체성과도 맞지 않고 종로 고유의 지명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있다. 역명 개정은 '엄격히 제한' 하여 허용되며, 개정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은 원인제공자 부담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종로구 지하철 동묘앞역 스케치
서울 종로구 지하철 동묘앞역 출구를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정재훈 기자
논란이 되고 있는 동묘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지원군이 조선에 주둔하며 이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지었다. 왜란이 끝났는데도 백성들이 공사에 동원되어 쉬지 못하자 이를 안타까이 여긴 신하와 유생들이 상소로 공사중단을 요청했다는 역사도 전해진다.

복기대 인하대 대학원 융합고고학과 교수는 지난 3월 종로 강연에서 "동묘는 중국에서 재신(財神)으로 추앙받았다. 전국에서 관우사당이 모두 사라졌는데 서울 한복판에 남아 있다"며 "중국의 무속신앙이 우리가 보존해야 할 역사문화유산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동묘는 1963년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됐는데, 중국풍의 건축물인 동묘에 대한 문화재적 가치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업을 하는 숭인2동 주민 이모씨는 "동묘앞역이라는 이름은 중국 사대주의 잔재인데 우리가 언제까지 이런 역명을 사용해야 하느냐"며 "지난해 노원구 당고개역이 불암산역으로 바뀌었다는 뉴스를 봤다. 창신동에는 창신역이, 신설동에는 신설역이 있듯이 동묘앞역을 숭인역으로 바꿔야 하는건 어찌보면 당연한것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숭인동은 조선시대 한성부의 숭신방과 인창방에서 유래했으며, 숭인이라는 이름이 서울 정체성에 맞는다는 것이다. 역사성이 있는 숭인역으로 변경된다면 주민들이 자부심을 가지게 될것이라고 종로구는 전했다.

종로구 지하철 동묘앞역 스케치
서울 종로구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을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정재훈 기자
숭인동 주민과 종로구의 역명 변경 주장은 어느 정도 타당한 논리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서울시가 2015년 만든 '도시철도 역명 제·개정 기준 및 절차 개선계획'에 따르면 역명 개정은 3가지 경우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대규모 도시개발로 역세권 환경이 크게 변화됐을때 △역명 사용 목적물이 소멸됐을때 △기타 역명을 개정해야 할 합리적인 사유와 그 필요성이 충분히 인정되는 경우다.

동묘앞역 명칭 변경 논의가 본격화하면, 세번째 경우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교통실에 따르면 동묘앞 역 명칭 변경과 관련한 민원은 아직 접수되지 않았다. 종로구청이나 주민들이 공식적인 민원을 아직 제기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암초는 돈 문제다. 위의 계획에 따르면 역명 개정에 따라 발생되는 제반 비용은 원인제공자(또는 요청기관)부담이 원칙이다. 제반 비용은 개정에 따른 폴사인, 노선도, 표지판 등 정비와 안내방송 등에 소요되는 자금이다. 역명개정을 요청할 때에는 비용 부담주체를 사전 확정하고 명시해 요청하도록 되어 있다. 만성적자에 시달리는 서울지하철로서는 불가피한 조치다.

아시아투데이 취재에 따르면 역명 변경 시 평균 18억원 안팎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액의 돈을 종로구와 숭인동 주민들이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빠듯한 예산으로 살림살이를 해야 하는 종로구로서는 만만치 않은 부담이다.

종로구 지하철 동묘앞역 스케치
서울 종로구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을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정재훈 기자
지난해 역명 변경에 성공한 노원구의 사례를 짚어 볼 필요가 있다. 노원구는 주민들의 여론에 따라 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을 '불암산역'으로 바꿨다. 당고개가 어디인지 명확하지 않고 무속과 연관된 이름이라는 이유로 당고개역이 꺼려진다는 주민들의 여론을 등에 업고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

취재 결과 당시 당고개역 역명 개정과 삼각지역(전쟁기념관역) 역명 병기가 함께 이뤄졌다. 이에 따른 비용은 11억원 정도 들었는데, 6억 5000만원을 노원구가 부담하고 나머지 4억 5000만원을 전쟁기념사업회가 충당했다. 막중한 부담을 서로 나눈 것이다. 종로구로서는 참고할만한 내용이다.

동묘앞역 이름을 바꾸려면 △종로구 주민 의견 수렴 △종로구 지명위원회 심의 △서울교통공사 의견 조회 △서울시 지명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가 기다리고 있다.

정문헌 종로구청장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 담긴 종로의 가치를 살리고 후대까지 이어가는 것은 책무라고 생각한다"면서 "동묘앞역의 개명을 바라는 주민들의 숙원을 해결하고 종로의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는 다각적인 노력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평수 기자
박아람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