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팔레스타인 시위 참여 유학생 체포 등 단속 강화
|
보도에 따르면 컬럼비아대, 하버드대, UC샌디에이고대 등 주요 대학들은 유학생 비자가 취소된 사실을 사전에 통보받지 못했으며, 이유조차 설명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유학생 데이터베이스를 모니터링하다 비자 취소 사실을 확인했거나, 이민 당국에 유학생이 체포된 뒤에야 알게 됐다고 전했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달 최소 300건의 유학생 비자가 취소됐다고 확인했다. 그는 "비자 요건을 위반한 사례를 계속 확인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에는 약 110만 명의 유학생 비자 소지자가 있다. 비자를 취소당하면 즉각 추방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자 갱신이나 미국 출국 후 재입국이 불허되는 대가를 치르게 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친(親)팔레스타인 시위에 가담한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를 취소하고 이들을 추방하는 등 대학가에서 벌어지는 반이스라엘 활동을 정조준하고 있다.
관련 부처인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무부는 유학생들의 비자 취소 이유를 묻는 언론 질의에 묵묵부답이다.
다트머스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중국 국적의 류샤오톈 씨는 지난주 아무런 설명 없이 비자가 취소됐다며 크리스티 노엄 국토안보부 장관과 토드 라이언스 ICE 국장 대행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2023년부터 다트머스대에서 학업을 이어온 류 씨는 범죄 전력이나 시위 참가 이력이 전혀 없다고 주장한다.
고등교육 비영리조직인 미국교육협의회(ACE)는 지난 5일 루비오 장관과 노엄 장관에게 비자 취소 사유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협의회는 일부 학생들이 '자진 출국' 통보를 받았지만 이의제기 절차조차 안내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비자 취소 사례는 미국 전역에 걸쳐 보고되고 있다. 켄터키대, 미네소타주립대 맨케이토 캠퍼스, 매사추세츠대 보스턴 캠퍼스 등이 포함됐다. 피해 학생의 국적은 다양하며 학부생뿐만 아니라 대학원생, 졸업 후 취업 중인 유학생들도 비자 취소 대상이 됐다.
239개 공립·주립대를 대표하는 공공대학연합(APLU)의 버니 부롤라 글로벌 업무 부회장은 "(비자 취소가) SNS에 올린 게시물 때문인지, 혹은 시위대 근처에 있었다는 이유 때문인지 학생들은 걱정한다"며 "무엇이 문제인지 알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공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