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얀마 지진, 비까지 내려 구호 난항… 사망자 3471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6010003359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4. 06. 15:08

MYANMAR-THAILAND-QUAKE
지난 5일 미얀마 만달레이 주민들이 지난 3월 28일 발생한 지진으로 무너진 건물의 잔해를 정리하고 있다./AFP 연합뉴스
지진 피해를 입은 미얀마 일부 지역에 주말 동안 비가 내려 구호 활동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으며, 질병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6일 보도했다 . 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수장은 이재민을 위한 텐트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영 언론에 따르면 지난 지난 3월 28일 발생한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3471명으로 증가했다. 부상자는 4671명, 실종자는 214명으로 집계됐다.

구호 단체들은 강우와 극심한 더위가 겹치면서, 야외에 머물고 있는 지진 생존자들 사이에서 콜레라 등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방문 중인 톰 플레처 OCHA 총책임자는 X(구 트위터)를 통해 "가족의 시신이 잔해에서 수습되는 가운데 사람들은 무너진 집 옆에서 잠을 자고 있다"며 "생존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텐트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인도, 동남아 국가 등 미얀마 인접국들은 지진 발생 후 지난 일주일간 인력과 물자를 파견하며 피해 지역에 대한 복구를 돕고 있다.

한편, 최근까지 세계 최대 인도주의 지원국이었던 미국은 지진 피해 지역에 최소 900만 달러(약 131억 5000만 원)를 지원하기로 약속했지만, 외교 지원 프로그램 축소로 인해 대응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전 고위 관계자인 마르시아 웡은 로이터에 지진 발생 이후 현장에 파견됐던 USAID 직원 3명이 해고 통보를 받았다고 전했다.

웡은 "이들은 현재 인도주의 지원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런 가운데 해고 소식을 접하게 된다면 어떻게 의욕이 꺾이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인접국인 태국에서도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24명으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17명은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고층건물 붕괴 현장에서 숨졌다. 현재까지 실종자는 77명이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을 축출한 2021년 군사 쿠데타 이후, 미얀마 군부는 국가 운영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 지진으로 의료 등 필수 서비스와 경제 전반이 더욱 큰 타격을 입었다.

유엔에 따르면 쿠데타 이후 이어진 내전으로 300만 명 이상이 집을 잃었고, 식량 불안정이 광범위하게 확산된 가운데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인도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