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철강·알루미늄 수출 중기 “관세 관련 정보제공 가장 필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1010016724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03. 31. 12:00

수출 중기 42.8% "美 철강·알루미늄·파생상품 관세부과로 수출·매출 영향"
중기중앙회, 중기부와 '미국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관련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 발표
1
철강·알루미늄 수출 중소기업에 가장 필요한 지원은 관세 관련 정보제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벤처기업부와 31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미국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관련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7일부터 26일까지 중소기업 6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 중소기업의 42.8%가 미국의 철강·알루미늄·파생상품 관세부과로 수출이나 매출에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미국의 관세부과로 인해 중소기업이 겪고있는 애로사항은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 어려움'으로 응답한 기업이 41.8%로 가장 많았고 △관세 리스크로 인한 물류비 상승(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36.5%)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응답기업 중 32.5%가 관세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비중인 내용으로는 △생산비용 등 자체 비용 절감 노력(52.8%) △미국 거래처와 관세 부담 논의(51.8%) △유관기관 설명회 참여 등 정보탐색(30.8%) 등이 가장 많았다. 관세부과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관세 관련 정보제공'이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물류비 지원 강화(46.7%) △정책자금 지원(40.5%) △법무·회계법인 등 관세 컨설팅(2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생상품을 수출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 중 43.4%가 파생상품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변했으며 파생상품 수출 중소기업에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미국 HS코드 확인을 위한 전문 컨설팅(42.4%) △철강·알루미늄 함량 계산 컨설팅(41.4%) △통관 절차 등에서의 서류 대행(3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15개 지역별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수출전문관이 1차적인 상담·안내를 진행하며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중기청의 추천 절차를 거쳐 정책우선도 평가 면제 조치와 패스트트랙 절차 등을 통해 자금을 지원한다. 심층상담이 필요한 경우 비즈니스지원단의 관세 전문인력을 통해 관세 관련 심층상담, 현장클리닉을 연계 지원한다.

특히 중기부, 중기중앙회, 관세청 등과 협업을 통해 미국 관세 관련 최신 동향,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미 관세부과 대응 중소기업 지원 설명·현장 상담회'를 개최한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중소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전문인력과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