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중, 트럼프 재집권, 한일과 협력 강화 기회...시진핑, 경주 APEC 참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0010016141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3. 30. 07:45

교도 "중, 한일과 북한 비핵화 협력 강화 구상"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한미일 협력 흔들"
"중 정책 입안자 '한일에 접근할 전략적 기회'"
"시진핑, 경주 APEC 참석 전달, 한일과 관계 개선 조치"
한일중 외교장관 회의
조태열 외교부 장관(오른쪽)과 ·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왼쪽)이 22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한 제11차 한·일·중 외교장관 회의 관련, 공동 기자회견을 하기 전 악수를 나누고 있다. 가운데는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AFP·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중국 정부가 북한 비핵화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과 협력을 강화하려는 시나리오 속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한국 측에 전달했다고 일본 교도(共同)통신이 29일 보도했다.

교도는 이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중국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고립주의로 경도되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한국과 일본에 접근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가 생겼다고 판단해 한·미·일 동맹관계를 끊어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관여를 약화시키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지난 1월 20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한국·일본을 포함한 동맹국과의 협력이 흔들리기 시작하자 대(對)한·일 외교나 한반도 문제를 담당하는 중국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는 "한·일에 접근할 여지가 생겼다"는 인식이 공유됐다고 교도는 전했다.

정책 입안자들은 한·미·일 공조를 무너뜨릴 전략적 기회를 살릴 방안을 검토한 결과, '가장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분야'가 북한 문제에 대한 협력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한다.

시진핑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17년 11월 9일 중국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진행된 환영식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AP·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오는 10월 말∼11월 초 예정된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의 참석 의향을 한국 측에 전달한 것도 한국·일본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라고 교도는 설명했다.

중국은 핵·미사일 개발을 추진하고, 러시아와 군사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북한의 핵 개발에 제동이 걸리지 않는 현 상황에 강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교도는 전했다.

중국이 지난해 10월 왕야쥔(王亞俊) 주북 중국대사를 일시 귀국시켰는데, 이는 북한에 대한 항의 표시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교도는 해석했다.

앞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22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1년 4개월 만에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를 가졌을 때도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중국에 한국·일본과의 관계 강화 기회를 제공했다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로이터통신은 한·일·중 외교장관 회의가 트럼프 대통령이 수십년에 걸친 관계를 뒤집은 미국의 전통적인 동맹들과 중국이 보다 긴밀한 관계를 구축할 가능성을 연 상황에서 이뤄졌다고 전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은 "한·중·일이 외교장관 회의에서 자유무역 추진 등 경제를 중심으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3국) 접근의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사회에서 만들어내는 불확실성 속에서 3국 관계 안정화를 통해 미국에 대한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있고, 중국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동맹관계에 묶인 한·미·일의 결속을 분열시킬 기회로 삼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