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연구 생태계 선도 역할
기간은 4월 1일부터 3년간
|
연구중심병원 제도는 바이오헬스 분야의 연구개발(R&D)과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2013년에 처음 도입돼, 그 간 10개 병원이 지정 운영돼 왔다. 이후 바이오헬스 기술 수요 증대와 산업 발전에 따라 병원의 연구 문화를 확산하고자, 2024년 법 개정을 통해 '지정제'에서 연구 역량이 입증된 병원에 적용하는 '인증제'로 개편하게 됐다.
이번 인증 평가는 기존 지정 연구중심병원 10곳을 포함해 총 30개 의료기관이 참여했으며, 연구역량 질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21개 병원이 인증을 받았다. 기존 지정 병원 10곳은 모두 인증을 통과했고, 11개 의료기관이 새롭게 연구중심병원으로 합류했다.
복지부는 1단계 기본역량 평가와 2단계 연구역량 질 평가로 나눠 약 3개월간 평가 기준 부합 여부를 면밀히 검토했다. 특히 △글로벌 수준의 연구 시스템 및 인력 △지속 가능한 연구지원 거버넌스 △중개 및 임상연구 수행 역량 △특화된 중점 연구분야의 경쟁력을 갖췄는지 등을 중점 검토했으며, 인증 평가 결과는 지난 19일 보건의료기술 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쳤다.
1기 인증 의료기관은 연구중심병원으로서 연구중심병원육성 R&D 사업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되며, 보건의료기술진흥법에서 정한 연구중심병원 운영 취지에 맞게 앞으로 바이오헬스 연구 생태계의 중심으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한다.
복지부는 인증된 연구중심병원의 성과를 주기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인증제를 조기에 정착하고, 더 많은 의료기관이 연구역량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향후 인증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제도 운영의 신뢰성을 높이는 한편, 연구중심병원 R&D 예산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연구중심병원이 늘어날수록 진료와 연구가 균형을 이뤄 병원 환경을 더욱 튼튼하게 하고, 우수한 바이오헬스 성과가 병원을 기반으로 신속하게 도출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