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과기부, 산불 확산에 방송통신 장애 복구 총력 대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26010013946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3. 26. 09:57

방송통신재난 위기경보 ‘주의’로 상향 발령
재난로밍 명령 통해 울진군 통신서비스 복구
2025032501002181900135611
25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산림청 헬기가 산불 지연제를 살포하며 산불 확산을 막고 있다./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경상권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방송통신 장애의 복구를 위해 총력적인 대응 체계를 가동했다.

과기부는 전국 동시다발적인 산불 확산으로 인한 방송통신 장애 복구에 정부와 통신사, 종합 유선방송사간 긴밀한 보고·협력 체계를 통해 대응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과기부는 경북 의성 지역에 발생한 화재가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자 대규모 방송통신 시설의 피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방송통신재난 위기경보를 '관심' 단계에서 '주의'로 전날 오후 7시에 상향 발령했다. 이어 '방송통신재난대응상황실' 운영을 통해 정부와 사업자간 24시간 대응 태세를 강화했다.

특히 산불로 인해 울진군 지역 전체 SKT 이동통신서비스가 중단되자 과기부는 KT에 재난로밍 명령을 했다. 2020년 도입된 재난로밍은 특정 사업자의 이동통신 서비스에 장애 발생하면 타 사업자의 무선통신시설을 이용해 장애가 발생한 통신사 이용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대책이다.

이후 재난로밍 적용 테스트 중 SKT는 산불 피해를 받지 않은 인근 회선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해당 지역의 이동통신서비스를 복구했다.

한편 의성, 안동 등 경북 북부 지역의 방송통신 장애는 대형 산불에 따른 사고 위험 방지를 위한 한전의 전력 차단 조치로 인해 주로 발생했다고 과기부는 전했다. 이에 정부와 사업자는 한전의 전원 복구와 산불 진화에 맞춰 복구 작업을 순차적이고 안전하게 진행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산불 확산 및 방송통신 장애 발생에 따라 24시간 모니터링 및 총력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재난 상황에서 국민의 방송통신서비스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대응 및 복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