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의뢰 사실 아냐
明, 구속 취소 청구
|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사건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이날 오후 명씨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여론조사 비용 대납 관련 의혹을 들여다보기 위해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소환했다. 검찰은 김 부시장을 상대로 오씨와 명씨 사이 미공표 여론조사 의혹을 확인할 것으로 파악된다.
김 부시장은 이날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명씨와 강혜경씨가 쓰고 있는 거짓의 가면을 벗기고 명확한 진실을 규명하는 데 협조하기 위해 자리했다"며 "얼굴이 알려졌다는 이유로 가짜뉴스를 퍼나르고 이야기하는 것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김 부시장은 오 시장이 김영선 전 의원에게 서울주택공사 사장 자리를 약속했다는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김 부시장은 "터무니없는 이야기다. 오 시장은 그런 자리를 약속하는 스타일이 아니다"라며 "망상가들의 꿈인지 모르겠으나 거짓 증언은 이제 그만하라"고 강조했다.
검찰은 2021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명씨가 실소유한 것으로 알려진 미래한국연구소 미공표 여론조사를 오 시장이 13차례 제공받은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해당 여론조사 비용은 3300만원은 오 시장 후원자로 알려진 김한정씨가 대납한 것으로 전해진다. 명씨는 오 시장과 7차례 정도 만났으며 김씨와 3자 회동을 한 적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검찰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지난 10일 강철원 전 정무부시장과 박찬구 정무특보를 참고인 및 고소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한 바 있다. 지난 11일에는 명씨와 김 전 의원을 함께 불러 오 시장 관련 의혹 규명을 위한 대질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 시장 측은 명씨의 주장이 대부분 허위라며 반박하고 있다. 강 전 부시장은 "김한정 사장과의 3자 회동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5%의 사실에 95%의 허위를 엮고 있는 명씨 진술의 실체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검찰은 관련자들의 진술을 종합한 뒤 오 시장 의견도 직접 들어볼 방침으로 전해졌다. 오 시장 측은 명씨에게 여론조사를 의뢰한 적이 없고, 김씨가 비용을 낸 사실도 몰랐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명씨 측은 이날 오전 창원지법에 구속 취소 청구서를 제출했다. 이른바 '황금폰'을 검찰에 제출해 증거 인멸 염려가 사라졌다는 주장이다. 김 전 의원도 구속 취소를 청구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아직 이들의 심문 기일은 잡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