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가부는 청소년기본법 제12조에 따라 2005년부터 매년 '청소년 특별회의'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제20회 청소년특별회의에서는 청소년 자기주도형 직업탐색 환경 구축,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역기능 통합지원 시스템 기능 확대 등 총 24개의 정책과제를 제안하고 22개의 과제를 정부 정책에 반영했다. 지난해 청소년들이 제안한 '청소년 자기주도형 직업탐색 환경 구축' 정책제안은 교육부의 대학, 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한 신산업 및 과학기술 분야 진로체험 프로그램으로 채택돼 올해부터 운영될 예정이다.
청소년 정책제안에 관심이 있는 9~24세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특별회의 위원에 지원할 수 있다. 참가 희망자는 청소년참여포털 누리집에서 회원가입 후 개별 신청하면 된다.
제21회 청소년 특별회의는 올해 4월 4일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출범식을 갖고 9월 본회의를 거쳐 11월 21일 결과보고회를 갖고 일정을 마무리한다. 올해 특별회의 주제는 대국민 투표를 통해 선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에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책영역 제안 결과를 토대로 이달 7일 열린 전문가 자문회의에서 건강, 안전·보호, 디지털 문제 총 3개의 정책영역 후보군을 선정했다. 오는 24일까지 특별회의 인스타그램에서 정책영역 선정을 위한 투표를 진행한다.
최은주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청소년특별회의는 청소년이 필요한 정책을 직접 발굴하여 제안하는 기구로 청소년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한 만큼, 많은 청소년들이 관심을 갖고 지원하길 바란다"며 "여가부는 청소년특별회의를 통해 청소년들이 정책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