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자의눈] 저당잡힌 미래 ‘청년부채’… 대책 마련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pi1.asiatoday.co.kr/kn/view.php?key=20221205010002172

글자크기

닫기

이지훈 기자

승인 : 2022. 12. 06. 06:00

이지훈 기자
경제정책부 이지훈 기자
통계청이 최근 공개한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29세 이하 청년층의 부채가 1년 새 41.2% 급증했다. 전체 연령대 평균 부채 증가율(4.2%)과 비교하면 10배나 높은 수준이다.

청년들이 빚이 크게 늘어난 이유는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를 위해 무리하게 대출을 받은 것이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29세 이하의 경우 금융부채를 얻어서 전세 등 보증금을 끼고 집을 매매한 몇몇 가구가 발견됐다"며 "이러한 특성이 증가율에 반영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상환능력이 충분하다면 빚을 내 투자에 나서는 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빚을 갚을 능력이 떨어지는데 대출이 급증하는 경우가 문제다. 부채 상환 능력은 자산과 소득에 비례하는데 청년층은 두 가지 모두 취약하다. 게다가 저금리가 끝난뒤 고금리 전환시대를 맞으면서 이자부담도 눈덩이 처럼 불어나고, 급기야 사놓은 집은 오히려 가격 하락 추세에 돌입하면서 엎친데 덥친 격이 됐다.

이들 세대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37.1%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97%에 달했다. 빌린 돈이 저축한 돈의 2배라는 의미다.
자산만 취약한 것이 아니다. 청년층은 소득 역시 다른 세대보다 적다. 통계청에 따르면 20대의 월평균 소득(2020년 기준)은 229만원이다. 40대(393만원) 소득과 비교하면 6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난 증시 및 부동산 활황기에 다수의 청년이 과도하게 빚을 내서 투자하거나 집을 매수하는 등 채무 부담이 이미 높은 상황"이라며 "올해 연말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청년들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인구 고령화 추세에 생산가능인구가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서 청년층의 부채 급증은 더 이상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가 청년 부채 해결을 위한 해법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이지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